개념 정리 Archive 2017. 1. 2. 03:21

고대 그리스 비극의 시작?

고대 그리스 연극은 종교적 제식, 제의에서 기원했다는 설이 지배적이다.


책에서는 보통 제의로써 연극의 개념을 대개 '춤'과 '음악'이라는 행위로써의 요소로 주로 다루는데,

제의란 기본적으로 '제사'다. 신에 대한.


제사는 전통적으로 제물, 즉 희생양(Sacrifice)을 필요로 한다.

처음에는 이 희생양이 인신공양의 형태로 존재해왔다.

예를 들면 나라에 큰 변이 생겼을 때 왕이 자기 아들이나 왕비를 죽여 제물로 바치거나,

전쟁에서 이긴 후 적국의 포로들을 제단에 줄줄이 줄세워놓고 목을 따거나. 등등.


+세익스피어의 타이터스 앤드로니커스 작품을 보면 이 인신공양의 전통이 최소한 로마 시대까지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그 후에도 중세시대 마녀사냥, 화형의 형태로 드러나기도 하지만 제의로서의 인신공양과는 조금 개념이 다르다)


그런데 이런 인신공양으로서의 제물이 상당히 끔찍하잖아?

그래서 그 희생양이 사람에서 양으로, 동물로 변화한다.

이는 구약성서에서 야훼가 아브라함의 신앙을 시험하기 위해 자기 아들을 바치라고 하고,

아브라함이 결국 자기 아들을 바치려 하자 야훼가 천사를 보내 아들 대신 양을 바치라 한 이야기로 드러난다.


근데 이것도 지겨워! 좀 더 새로운 것 없을까?

이때 이 Sacrifice를 상징하는 드라마를 만들기 시작한 것.

신을 향해 제물을 바쳐 무언가를 기원하고 나라에 안녕을 비는 대신,

이러한 희생의 제식을 드라마로 표현하기 시작.

주인공이 자신의 죄로 인해, 혹은 대의를 위해 스스로 희생당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 - 비극의 시작?


이를테면 오이디푸스왕 이야기에서도 볼 수 있듯,

신의 장난으로 인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혼인한 사실을 깨닫고 자신의 눈을 찌르게 되는 :

스스로를 속죄하고 희생시키는 오이디푸스의 모습을 통해

희생제의로써의 드라마의 역할을 비극의 출발로 볼 수 있지 않을까?



+여담인데 오이디푸스가 단순히 '마더 콤플렉스'로 인해 아버지를 극복하고 어머니를 탈취했다는 관점에서 벗어나,

스핑크스를 죽이는 자에게 선왕의 왕권을 계승하고 그와 결혼하겠다고 한 어머니 이오카스테의 약속에서 추측해보면

선왕이 죽으면 그 후계자가 (선)왕비를 취하는 것이 그 당시의 사회적 관습'일 수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질문을 해본다.

만약 그렇다면, 오이디푸스는 '신의 장난'이란 이름 아래 '당대 사회의 관습과 제도'로 인해

'희생당한' 인물로 해석할 수도 있다는 것.

 - 또 이 희생양으로써의 오이디푸스는 도시를 뒤덮은 페스트에 대한 책임을 오이디푸스 개인이 지고 도시에서 추방되는 모습으로도 명확해지며, 희생양을 만들고 그를 통해 자신의 죄를 죄를 덧씌우는 방식으로 상대적 위안?을 가지려 했던 당시 그리스인들의 사상도 엿볼 수 있다.


어찌됐건 그리스인들은 어떤 성스러운 제의에서, 그 성스러움을 더할 '제물'이 필요했고,

그것이 희생제의라는 형식으로 인신공양 - 동물 제물을 거쳐 '미메시스(모방)로써의 드라마' 로 변화하지 않았는가,

그리스 비극의 내용이 그러한 것은 고대 그리스인들의 희생양에 대한 사상에서부터 출발했다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리스 연극의 내용적인 면은 이러할테고,

형식적인 면은 디오니소스 축제를 통해 볼 수 있는 춤과 음악, 광기(마니아), 코러스 등등

여러 요소들이 작용한 점을 공부해보면 되겠다.


'개념 정리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메시스  (0) 2017.01.02
개념 정리 Archive 2017. 1. 2. 01:44

미메시스

미메시스

mimesis ]



그리스어로 춤 · 몸짓 · 얼굴표정 등에 의해서 인간 · 신 · 사물 등을 모방하는 것을 의미한다.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메시스를 자연의 재현이라고 말했다. 특히 아리스토텔레스는 『시학』에서 사제가 회중() 앞에서 연기하는 의식과 배우가 관객 앞에서 연기하는 “행동의 모방”을 구별한다. 플라톤에 의하면 모든 예술적 창조는 미메시스의 형태이다. “이데아의 세계”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신이 창조한 형태이며, 인간이 자신의 생활 안에서 지각하는 구체적인 사물들은 이 이상적인 형태가 그림자처럼 어렴풋이 재현된 것이다. 그는 화가 · 비극작가 · 음악가 등 예술가는 “모방된 것을 다시 모방하는” 자들이고, 본질에서 벗어나 있다고 본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이와 달리 예술가는 일시적인 것이 아니라 영원한 사상 · 행동 · 감정을 모방한다고 본다. 또한 예술가는 인간의 행동을 “개연성”의 법칙에 따라서 표현하고, “개연성 없는 가능성보다도 개연성 있는 불가능성”을 표현해야 한다고 말한다. 진실은 그 형식 속에 있다고 본 것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자연계와 인간계를 역동적인 변화의 세계로 본다. 그것은 처음과 중간 그리고 끝의 과정이 있는 동적인 형태를 나타낸다. 꽃, 동물, 인간은 태어나 성숙해서 죽기 때문에 그런 삶을 흉내 내는 연극도 그와 같은 패턴을 갖지 않으면 안 된다고 본다.


신고전주의 작가들은 이와 달리 최고의 고전적 모범을 모방하는 일이 중요했다. 예술의 기능은 미메시스였고, 새로운 리얼리즘 소설이 나타났다. 스탕달에 의하면 소설은 일종의 “공도에 놓인 거울”이며, 그 목적은 인생의 모방, 즉 미메시스였다. 이 미메시스의 강조가 에밀 졸라를 거쳐서 자연주의 연극에서는 인간 행동의 표층인 의상 · 세팅 · 자연스런 말씨 등의 모방으로 이어졌다.


근대 문학 이론가는 예술이 예술 자체의 리얼리티를 창조하는 방법을 강조한다. 예술적 표현 수단은 그것이 전달하고자 하는 리얼리티를 변형시킨다고 본 것이다. 아르토와 같은 극작가는 “연극은 어떤 사건의 미메시스가 아니라 사건 그 자체이며, 인생의 재현이 아니라 삶의 방법이다”라고 주장했다. 또한 20세기 정치극은 여전히 바깥 세계의 묘사에 지대한 관심을 보인다. 정치극이 강조하는 것은 아르토와 같이 그 자체를 목적으로 하는 연극도 아니고, 아리스토텔레스 이후 비극에 관한 이론가들의 말과 같은 불변하는 패턴의 재현도 아니며, 바로 사회적 · 역사적 변화의 과정이다.


연극이란 모방의 과정인가? 그렇지 않으면 독자적인 세계를 구축하는 것인가? 또는 이 두 과정의 혼합인가? 연극이 모방이라면 연극은 무엇을 모방하는가? 인간, 자연 또는 역사를 재현해야 하는가? 표층을 나타내야 하는가? 아니면 심층을 나타내야 하는가? 연극이라고 하는 매체는 어떠한 의미에서 리얼리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는가? 사용된 수단은 전적으로 리얼리티가 아닌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대답은 리얼리티 개념이 변함에 따라서 계속 변화된다.



[네이버 지식백과] 미메시스 [mimesis] (드라마사전, 2010., 문예림)


'개념 정리 Archiv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대 그리스 비극의 시작?  (0) 2017.01.02
To Russia 2013. 7. 20. 19:01

노래 조쿠나



Moon river, wider than a mile
I'm crossing’ you in style some day
Oh, dream maker. you heart breaker

wherever you’re going’
I’m goin’ your way
Two drifters, off to see the world

There’s such a lot of world to see

We’re after the same rainbow’s end 
Waiting ’round the band my Huckleberry friend
Moon river and me


Moon river, wider than a mile
I’m crossin’ you in style some day
Old dream maker. you heart breaker

wherever you’re goin’
I’m goin’ your way
Two drifters, off to see the world

There’s such a lot of world to see

We’re after the same rainbow’s end 
Waiting ’round the band my Huckleberry friend
Moon river and me
Moon river Moon river Moon river


문리버 짱짱



'To Russia'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쭈기 10년 플랜  (0) 2011.10.24